3월 30일 IT기술 동향- 호그와트 레거시 확장팩 개발 취소 등

최근 IT 업계는 다양한 기술 발전과 새로운 트렌드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게임 업계에서는 기대작의 개발 소식과 더불어 새로운 기술이 게임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합니다. 또한, 보안 분야에서는 사용자들의 디지털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주목할 만한 주요 뉴스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기술 트렌드를 예측해 보겠습니다.

호그와트 레거시 확장팩 개발 취소

출처: Forbes

주요 내용:

  • '호그와트 레거시'가 3천만 장 판매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확장팩 개발이 취소되었습니다.
  • 원래 올해 출시 예정이었던 확장팩은 WB의 비용 절감 정책에 따라 취소되었습니다.
  • 개발이 상당 부분 진행된 것으로 보입니다.
  • 속편 개발에 집중하기 위한 결정으로 해석됩니다.
  • 'GTA 5'처럼 온라인 콘텐츠에 집중하지 않고 속편 개발에 집중하는 전략입니다.

태그: 호그와트 레거시, 확장팩, 개발 취소, 워너 브라더스, 속편, 게임, 판매량, 비용 절감

Gemini 대상 새로운 해킹 기법: Fun-Tuning

출처: Ars Technica

주요 내용:

  • 연구자들이 Gemini LLM의 취약점을 악용한 "Fun-Tuning" 공격 기법을 개발했습니다.
  • Fun-Tuning은 Gemini의 fine-tuning 기능을 활용, 자동 생성된 prompt injection을 통해 공격 성공률을 높입니다.
  • 기존의 수동 prompt injection보다 효율적이며, 60시간의 컴퓨팅 시간과 $10 정도의 비용이 소요됩니다.
  • Fun-Tuning은 Gemini의 내부 작동 방식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며, 학습률 조정을 통해 prompt injection 성공률을 높입니다.
  • PurpleLlama CyberSecEval 벤치마크에서 높은 공격 성공률을 보였습니다.

태그: Gemini, 해킹, Fun-Tuning, prompt injection, LLM 보안, AI 공격, fine-tuning, 보안 취약점, 머신러닝, 인공지능

아이폰 폴드, 아이패드 스타일 4:3 화면비 채택 전망

출처: MacRumors

주요 내용:

  • 아이폰 폴드가 4:3 화면비의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외부 화면은 5.5인치, 내부 화면은 7.8인치로 예상됩니다.
  • 아이패드와의 앱 호환성 및 외부/내부 화면 일관성을 위한 결정입니다.
  • 티타늄 합금 케이스와 금속 유리 힌지 사용, 듀얼 카메라 탑재가 예상됩니다.
  • Face ID 대신 측면 Touch ID 채택, AI 기능 강화 전망입니다.

태그: 아이폰 폴드, 폴더블폰, 화면비, 아이패드, Ming-Chi Kuo, Digital Chat Station, AI폰, 터치ID, 디스플레이, 힌지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의 바람 효과

출처: Eurogamer

주요 내용:

  •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는 바람을 단순한 시각적 효과 그 이상으로 활용합니다.
  • 16세기 일본의 격동기를 표현하며, 게임의 몰입도를 높입니다.
  • 바람은 주인공의 여정을 이끌고, 게임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 새로운 Anvil 엔진의 Atmos 시스템을 통해 구현된 차세대 기술입니다.
  •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 먼지 입자 등을 통해 사회 경제적 배경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태그: 어쌔신크리드, 섀도우, 바람, 오픈월드, 유비소프트, 일본, 게임엔진, Atmos, 기술, 몰입감

MS, 윈도우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사용 중단 경고

출처: Forbes

주요 내용:

  • MS는 10억 명 이상 윈도우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대신 Passkey 사용을 권장합니다.
  • 비밀번호 관련 공격 급증 및 2FA 우회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Passkey는 하드웨어 기반 인증으로 보안성을 강화하고, 피싱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 MS는 계정에서 비밀번호 완전 삭제를 목표로 하며, Passkey 우선 UX를 강화합니다.
  • 윈도우 11 초기 설정 시 MS 계정 연결 우회 명령어 제거를 통해 보안을 강화합니다.

태그: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비밀번호, Passkey, 보안, 인증, FIDO, 해킹, 피싱, 개인정보보호

이전일자 뉴스 바로가기


전체목록 바로가기

댓글 쓰기

다음 이전